2024년도형 도요타 하이엔더 모든 정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내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우선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목차
디자인
자세한 내용은 아래내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디자인은 크게 외부디자인과 실내디자인이 있습니다. 우선 외부 디자인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징은 아래를 확인해주세요
강렬하고 정교하게 조각된 라인
차체 표면을 자유롭게 흐르는 유려하고 역동적인 라인과 안정적인 차체 비율의 대비로 하이랜더만의 디자인 컨셉인 '강렬한 여유로움(Powerful Suave)'을 완성합니다.
블랙 글로시 메시 그릴 + 스키드 플레이트 입체적 조형의 블랙 글로시 메시 그릴 및 안정감 있는 스키드 플레이트는 토요타 SUV 패밀리 룩이 적용되어 고급스러운 프런트 뷰를 완성합니다.
블랙 글로시 메시 그릴 + 스키드 플레이트
입체적 조형의 블랙 글로시 메시 그릴 및 안정감 있는 스키드 플레이트는 토요타 SUV 패밀리 룩이 적용되어 고급스러운 프런트 뷰를 완성합니다.
Bi-LED 헤드램프
날렵한 형상으로 다이내믹함이 강조된 Bi-LED 헤드램프는 강인한 SUV의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다음으로 실내디자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탈릭 센터 프레임
12.3인치 센터 디스플레이에서 조수석으로 이어지는 메탈릭 센터 프레임은 부드러운 가죽 소재와의 대비를 통해 고급스러운 스타일을 더합니다.
퀼팅 패턴의 천연 가죽 시트
인체공학적인 설계로 완성한 편안한 쿠션감과 지지감을 경험해 보세요.
파노라마 선루프
대형 파노라마 선루프는 탁 트인 시야로 개방감을 제공합니다.
다음으로 퍼포먼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퍼포먼스
자세한 내용은 아래내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일상적인 주행에 여유롭게 대응하며 변속 충격이 없는 e-CVT 적용으로 7인승 SUV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승차감을 선사합니다.
토요타만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완성한 246마력의 시스템 총 출력과 13.8km/ℓ의 연비는 높은 경제성과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주행 중 노면 상황에 따라 전륜:후륜 구동력을 자동으로 배분해 주는 하이브리드 전용 AWD E-Four 시스템과 다이내믹한 스포츠 주행부터 고연비 주행까지 필요한 상황별 선택 가능한 드라이브 모드는 최적의 주행 경험을 선사합니다.
노면 고저차 발생 또는 급격한 가감속 시 피칭을 보정하여 차량 거동을 안정적으로 만들어 긴 여행에서도 탑승 피로감을 줄여주고 승차감을 향상시킵니다.
다음으로 편의사항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의사항
자세한 내용은 아래내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토요타 커넥트는 통합형 내비게이션, 네이버 클로바와 연동된 AI 음성 인식, 1시간마다 주행거리를 모니터링하여 점검 및 소모품 교환 시기를 안내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으로 운전자 환경에 맞춘 최적의 연결성과 사용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총 11개의 JBL 스피커는 탑승자에게 몰입도 높은 고품질 서라운드 음향을 선사합니다.
차량 전후좌우에 탑재한 카메라에서 받은 영상을 합성해 운전석에서 보이지 않는 차량 주위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대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지털 화면으로 적재물로 인한 가림 없이 탁 트인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키를 소지한 경우, 킥센서가 적용된 파워 백도어를 통해 트렁크를 편리하게 열 수 있습니다.
전면 유리에 풀 컬러로 투영된 정보를 통해 전방 주시하며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안전사항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사항
자세한 내용은 아래내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은 전방 물체를 감지하여 충돌 가능성이 크거나 사고 발생을 피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필요시 제동력을 개입해 브레이크 작동을 보조합니다. HIGHLANDER에 적용된 PCS는 차량뿐만 아니라 주•야간 보행자와 주간 자전거까지 감지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교차로 좌/우회전 시에 경로 내에 있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존재를 인식하여 충돌 위험이 감지될 경우, 일차적으로 경고 알람 후, 충돌 위험이 크다고 판단될 때 이차적으로 제동력을 보조합니다.
긴급 조향 어시스트는 전방 장애물이 나타난 긴급 상황에서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추가로 스티어링 휠 조작 양을 더해주어 충돌 회피를 지원하면서 차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합니다.